연금저축 납부액 세액공제 확인법 | 한도·납부금액별 절세 기준 총정리
연금저축에 납부한 금액은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절세 수단입니다. 납부금액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지고, 연령 및 종합소득에 따라 공제 한도도 달라지므로 사전에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본문에서는 납부금액 기준별 세액공제율과 한도 정보를 정리했습니다.
연금저축 세액공제 기준 요약
구분 | 공제율 | 공제 한도 |
---|---|---|
총급여 5,500만 원 이하 | 16.5% | 최대 400만 원 |
총급여 5,500만 원 초과 | 13.2% | 최대 400만 원 |
퇴직연금 포함 시 | 13.2% | 합산 최대 700만 원 |
주의: 연금계좌 전체 한도는 700만 원이며, 이 중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는 400만 원입니다. 퇴직연금(IRP)과 병행 시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연금저축 세액공제 확인 방법 (홈택스 기준)
- 홈택스 접속 →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조회
- ‘연금계좌 납입금액’ 항목 선택
- 연금저축, IRP 각각의 납부금액 확인
- 공제 한도와 비교해 조정 필요 여부 판단
또한, 연말정산 전까지 추가 납입을 통해 한도에 맞춘 절세 전략도 가능합니다.
연금저축은 중도 해지 시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에 대해 추징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최소 5년 이상 유지 및 55세 이후 연금 수령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